[네트워크] Server, Cloud service
Server 란 무엇인가?
서버는 네트워크를 통해 클라이언트에게 데이터 혹은 서비스를 제공해 주는 프로그램 혹은 장치이다.
서버는 애플리케이션이 제대로 구동하기 위해 항상 가동하고 있어야 한다.
서버를 운영하는 방식은 크게 두가지 방식으로 나뉘게 된다.
1. 온프레미스(On-premise) 방식
- 사내에 직접 서버 운용식을 두어 운용한다.
- 랙 안에는 서버와 라우터 스위치를 설치하여 관리한다.
2. 클라우드 서비스 (Cloud Service)
- 직접 운용하지 않고 인터넷으로 운용한다.
- 서버를 직접 운용하지 않고도 인터넷을 통해 서버의 기능을 이용할 수 있게 한 서비스
- 클라우드 서비스 사업자측에서 서버를 도입하고 운용하고 관리한다. => 이용자는 돈만 내면 됨
클라우드 서비스는 대표적으로 IaaS/PaaS/SaaS 로 분류할 수 있다.
1) IaaS(Infrastructure as a Service)
- 인프라형 서비스
- 클라우드 서비스가 출시되기 이전에는 기업에서 하드웨어/ CPU/메모리/스토리지/OS 등등 모두 직접 관리했어야 했다.
=> 초기비용이 상당히 많이 들어가게 된다.
인프라형 서비스 제공자는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서버의 CPU/메모리/스토리지 와 같은 하드웨어 부분을 서비스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이용자는 그걸 기반으로 OS, 미들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추가해서 시스템을 만들어간다.
- 대게 서버관리자들이 많이 이용한다.
2) PaaS(Platform as a Service)
- 플랫폼형 서비스
- 소프트웨어 개발을 돕는 서비스이다.
- 플랫폼일란 OS와 데이터베이스 등의 미들웨어를 포함한 부분을 가리킨다.
- 하드웨어부터 플랫폼에 해당하는 부분까지 서비스를 제공하며,
이서비스를 이용한 후 그 위에 애플리케이션을 추가하여 시스템을 개발한다.
- 보통 개발자가 많이 이용
3) Saas(Software as a Servicce)
- 소프트웨어형 서비스
- 하드웨어부터 애플리케이션의 기능까지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
- 이용자의 입장에서 가장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므로 일반 개인 사용자가 많이 사용한다.
- Google Drive, MyBox와 같은 서비스를 일컫는다.(온라인 스토리지 서비스와 같은 것)